울산시는 문화예술 활성화 및 보존 계승을 위해 ‘2014년 문화예술육성 지원사업 추진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하여 지역문화예술단체 대표자 및 관계자 간담회를 11월 13일 오후 2시 구관 3층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계획에 따르면, 2014년 문화예술육성 지원액은 총 8억 5,900만 원(중앙기금 4억 2,300만 원, 시비 4억 3,60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는 지난해 7억 1,900만 원보다 19.5% 증가한 것으로 보다 많은 지역예술인과 예술단체가 문예진흥기금의 수혜를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4명인 신진예술가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신규단체 지정을 의무화함으로써 그동안 문화예술진흥기금 수혜의 문턱이 높았던 신진 예술단체(예술인 포함)의 참여가 늘어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도 마련된다.
국가문화예술지원신청 웹 주소가 변경(기존 http://ulsan.artskorea.or.kr → http://www.ncas.or.kr)되고, 신청서 입력 방식도 대폭 간소화된다. 단, 입력 시 예술단체의 고유번호증 번호를 입력해야 되므로 사전에 국세청에서 발급하는 고유번호증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하므로 유의해야 된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12월 2일 오후 2시 의사당 3층 대회의실에서 울산 지역에서 활동(거주)하는 예술단체 및 개인을 대상으로 ‘2014년도 지역문화예술지원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원사업은 사업공고(12월 초), 행정심사(1월 중), 서류심사(2월 초), 종합토론심사(2월 중순) 등을 거쳐 내년 2월 말에 선정, 공고할 예정이다.
| 2014년 달라지는 주요내용 |
| 구 분 | 2013년도 | 2014년도(개선 안) | 비고 |
| 예산액 | 719백만원(중앙280, 시439) | 859백만원(중앙423, 시436) | 19.5% 증액 |
| 지원 규모 | ∙전문예술단체 : 4~15백만원 ∙비전문예술단체/개인 : 2~5백만원
∙신진예술가지원사업 – 개인 예술가 : 2백만원~5백만원 | ∙전문예술단체 : 5~20백만원 ∙비전문예술단체/개인 : 3~5백만원
∙신진예술가지원사업(확대) – 개인 예술가 : 3백만원~5백만원 | 전문예술단체 한도액 확대
신진예술가 지원사업 확대 |
| 정보 공개 | ∙지방자치단체 행사 원가회계정보 광역 1억원, 기초 5천만원 이상의 행사 내용(5개항목): 인건비(출연료 등), 인쇄비, 대외홍보비, 시설장비비 등 | ∙지방자치단체 행사 원가회계정보 광역 5천만원, 기초 1천만원 이상의 행사 내용(17개항목): 인건비(출연료 등), 인쇄비, 대외홍보비, 시설장비비 등 | 공개범위 확 대 (5개항목 →17개항목) |
| 신규 사업 | 지원유형 : 시도기획지원사업 미추진
| 지원유형 : 시도기획지원사업 추진 ∙ 시 자체사업 (전국 공연장상주단체 페스티벌) | 예술위원회 권고사업 |
| 전문예술단체-신규단체 의무 지정 ∙분야별 신규단체 의무 선정 (1~2개 단체) | 예술위원회 권고(평가반영) | ||
| 시스템 | http://ulsan.artskorea.or.kr | http://www.ncas.or.kr | 주소변경 |
| 첨 부 서 류 | 전문예술단체 – 첨부서류 사후 제출가능 ∙사업자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사업 신청시 시스템 입력 불필요 *지원신청시 또는 교부금 신청시제출서류(사후, 사전 제출 가능) | 전문예술단체 – 첨부서류 사전 제출 의무화 ∙사업자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사업 신청시 반드시 등록(사전 제출) *시스템 입력시 필수 입력사항
| 전문예술단체의 기준 명확화 |
| 레지던스 프로그램 지원사업 | |||
| 예산액 | 85백만원(중앙30, 시55) | 100백만원(중앙50, 시50) | 17.6% 증액 |
| 지원 규모 | 30백만원~ 50백만원 | 30백만원~ 100백만원 | |
| 공연장상주단체육성지원사업 | |||
| 예산액 | 357백만원(중앙250, 시107) | 433백만원(중앙303, 시130) | 21.2% 증액 |
| 지원 규모 | 1건당(공연장+공연단체) 100백만원 이내 | 1건당(공연장+공연단체) 최소 50백만원~최고 200백만원 | |
※ 2013. 11월 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4년 사업계획 지침 확정예정
원본 기사 보기:울산시민일보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