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대, 스마트 앱 평가·컨설팅 석사과정 정규과목 개설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숙명여대, 스마트 앱 평가·컨설팅 석사과정 정규과목 개설

숙명여대, 스마트 앱 평가·컨설팅 석사과정 정규과목 개설
스마트폰 가입자수 4천만명 시대, 앱 비즈니스 전문가 양성
IT융합비즈니스전공 석사과정, 내년 3월 입학 남‧여 신입생 모집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4천만명(2014년 9월말 기준)을 넘어선 가운데 숙명여자대학교는 지난 9월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를 석사과정 정규과목으로 개설한데 이어 내년 3월에는 ‘스마트 앱 평가·컨설팅’과 ‘3D프린팅 활용’ 등을 석사과정 정규과목으로 개설하여 스마트 시대 최고 유망 분야인 앱 비즈니스 전문가를 양성하고 IT융합 분야 교육과 연구를 선도하겠다고 나서 학계와 업계 및 대학원 진학 예정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www.facebook.com/itconvergencebiz)은 매 학기 ICT 관련 첨단 유망 분야 과목 신설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대학원은 창조경제, 창업, 스마트 앱 평가·컨설팅, IT융합, 빅데이터 등을 ICT 관련 유망 성장 분야로 판단하고, 관련 연구와 교육 및 과제 수행 등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창조경제스마트뉴딜실천연합(www.kcef.org)과 협력하여 오픈소스플랫폼 전문가 교육을 하였으며,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3D프린팅 활용 전문가 자격증 취득도 지원하기로 했다.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은 지난 3월에 신설되었으며, ‘웹/앱 평가’, ‘웹/앱 컨설팅‘, ‘웹 개방성’, ‘창조경제와 비즈니스 모델’, ‘창업과 비즈니스모델’ 등 앱 평가와 창조경제 및 창업 관련 과목을 교육중이다. ‘IT융합경영’, ‘IT융합비즈니스전략’, ‘창업과 비즈니스모델’ 등의 과목도 개설해서 창조경제와 IT융합 및 창업에도 특화하고, 지속적으로 앱과 창조경제 및 IT융합 관련 과목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IT융합기술협회 등과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으며, 특강과 실습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IT융합분야의 실전적 교육과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 대학원은 내년 3월에 입학할 석사과정 남여 신입생을 11월 10일(월)부터 20일(금)까지 모집한다(온라인 접수: 숙명여대 특수대학원 홈페이지(gss.sookmyung.ac.kr) 참조). 이 대학원은 2000년 3월부터 국내최초의 웹사이트 평가·컨설팅 전문기관인 웹발전연구소를 설립해 운영중이다. 웹발전연구소는 웹과 모바일 앱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이라 자부하며, 앱 접근성과 웹 개방성 등을 평가․컨설팅하고 있다. 문형남교수팀은 2013년 12월 국내최초로 앱 평가방법 특허를 등록했다. 이 대학원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창조경제스마트뉴딜실천연합은 소프트웨어전문기업협회, 전국컴퓨터교육협의회, 전국대학생창업동아리연합회(NEST) 등과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였다. 따라서 이 대학원에 입학하면 협력기관·기업으로부터 멘토링을 받을 수 있다.
 

이 전공 문형남 교수팀은 국내최초로 2011년부터 스마트 앱을 종합평가해서 발표하고 있으며, 앱 접근성과 웹 개방성 평가와 인증도 하고 있다. 이 전공 주임교수 겸 웹발전연구소 대표인 문형남 교수는 “스마트폰 가입자수 4,000만명 시대를 맞이하여 스마트 앱 평가와 컨설팅 분야의 수요가 많아 앱 평가․컨설팅에 대한 전망이 매우 밝다”고 한다. 이 전공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산업자원부 장관 표창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상도 수상했다. 이 전공은 정부 지원을 받아 숙명여대 내에 웹발전연구소(www.smartebiz.kr)를 사업화하였으며, 웹과 앱 접근성에 대해 평가하고 컨설팅하는 기술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기술보증기금으로터 벤처기업 확인을 받았다. 이 대학원에 입학할 경우 관련 프로젝트 참여 및 웹발전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 [코리안투데이]  2015 전기 신입생 모집(남,여) 안내 포스터   ©연삼흠

 

스마트시대 최고 유망 분야, ‘창조경제’, ‘IT융합’ ‘앱 평가’ 전문가가 되는 길!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 2014 후기 신입생 모집(남·여)
 
■ 원서접수 기간 : 2014. 11. 10(월) ~ 2014. 11. 20(목) 17:00
 
■ 원서접수 방법 : 숙명여대 특수대학원 홈페이지(http://gss.sookmyung.ac.kr/)와
유웨이중앙교육(www.uway.com)에서 인터넷접수만 가능
 
■ 제출 서류 : 대학 졸업(예정)증명서 1부, 대학 전 학년 성적증명서 1부
* 우편: 140-742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 숙명여자대학교 진리관705호 특수대학원 교학팀
 
■ 입학시험(면접) : 2014.12.06.(토) 14:00 (장소: 특수대학원 홈페이지 공지)
 
■ 관련 문의처 : 전공조교, 주임교수: 02)710-9963, 특수대학원 교학팀: 02)710-9079, 9083
 
 
■ IT융합비즈니스전공의 교육 목표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은 다양한 IT융합기술과 이를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등을 교육하여 창조경제시대에 적합한 IT융합기술 및 IT융합경영 전문가를 양성한다. 특히 IT와 금융을 융합한 은행·증권·카드사 등의 금융 애플리케이션(앱) 평가와 컨설팅 분야 최고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웹/앱 접근성과 웹 개방성 부문에서도 가장 앞서고 있다.
 

▲ [코리안투데이]  융합비즈니스 모델 © 연삼흠

 
■ 전공소개
‘창조경제’, ‘ICT 융합’, ‘웹과 앱 평가·컨설팅’에 특화한 국내최고의 ‘창조경제’, ‘ICT’, ‘웹과 앱’ 전문가 양성
국내 유일 정부지원으로 설립된 웹 접근성 전문 벤처확인기업인 (주)웹발전연구소 설립·운영
최우수 e비즈니스대학원 선정, 행정자치부장관과 산업자원부장관 및 방송통신위원장 표창 수상
수시로 관련 전문가 초청 특강 개최, 관련 업체와 활발한 산학협동
* 웹발전연구소 홈페이지 : http://www.smartebiz.kr
 
■ IT융합비즈니스전공 참여 교수진
문형남, Ph.D. (경영학박사, 공학박사수료), 숙명여대 IT융합비즈니스전공 주임교수
송민정, Ph.D. (커뮤니케이션박사), 성균관대 휴먼ICT융합학과 산학협력 중점교수
오재섭, Ph.D. (경영학박사, MIS전공), 창조경제융합연구소 수석연구원, 숙명여대 겸임교수
지속가능과학회와 한국ICT플랫폼학회 소속 교수님들이 교수진으로 참여
 
■ 주요 개설 과목
▶ 창조경제와 비즈니스모델 ▶ 웹 접근성과 개방성 ▶ 방송통신융합
▶ IT융합경영 ▶ 스마트앱 평가 ▶ 통신금융융합
▶ 웹/앱 컨설팅 ▶ 창조산업 ▶ 행동금융
▶ 경영혁신과 창조 ▶ 빅데이터분석과 활용 ▶ 자산금융운용
▶ e비즈니스세미나 ▶ 클라우드 컴퓨팅 ▶ 소셜미디어경영
▶ IT융합비즈니스전략 ▶ 창업과 비즈니스모델 ▶ 웹/앱 평가 등
 
■ 학위과정
전공과목 24학점, 논문지도 3학점, 논문연구 3학점 등 30학점 이수
조기 졸업: 5학기제이나 2학기 동안 학점 추가 취득으로 4학기 졸업 가능
 
■ 산학협력
한국IT융합기술협회, 지속가능과학회, 한국ICT플랫폼학회, 창조경제실천연합 창조경제융합연구소 등과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여 재학생에게 인턴 기회 부여 및 학회 교수진이 특강 및 강의 지원
 
■ 장학금

장학금명대상내용
성적 장학금성적우수자 중 선발등록금 일부
행정조교 장학금해당학기 전임조교등록금 전액
교육조교 장학금해당학기 조교등록금 일부
현직교사 장학금현직 초·중·고등학교 교사등록금의 30%
현직공무원 장학금현직공무원등록금의 30%
학·군협약 장학금현역군인등록금의 30%

 
■ 특장점
산학협동 및 연구소와 연계하여 국내 최고의 IT융합 및 웹/앱 평가·컨설팅 전문가 양성
IT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 초청 특강 개최 및 관련 업체와 활발한 산학협동
정부지원 받아 대학내에 ㈜웹발전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벤처기업 인증을 받음.
전공 재학생과 졸업생에게 소정의 평가를 거쳐 웹발전연구소 연구원 활동 및 취업 기회 부여
다양한 정부와 민간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하며, 프로젝트 참여자에게는 소정의 장학금(인건비) 지급
국내최초로 앱(어플리케이션) 평가 방법 특허 등록 및 관련 특허 출원중
웹 개방성과 웹개방성지수(WOI)를 개발하였으며, 정부(안전행정부)에서는 모든 행정기관과 지자체 및 산하·소속 기관에 웹발전연구소의 웹개방성지수를 준수하라고 함.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