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2가지의 고병원성 H5N6형 조류인플루엔자(AI) 변이 바이러스 국내에 동시 유입”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올겨울 2가지의 고병원성 H5N6형 조류인플루엔자(AI) 변이 바이러스 국내에 동시 유입”
▲ 안병옥 환경부 차관(왼쪽 두번째)과 관계자들이 17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야생조류 AI 조기감시시설을 방문하여 감시조류의 감염여부 확인을 위한 시료채취를 하고 있다. [사진 = 환경부 제공]     © 김진혁 기자

 

올겨울 최소 2가지의 고병원성 H5N6형 조류인플루엔자(AI) 변이 바이러스가 겨울철새에 의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는 유전자 분석 결과가 나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고창 육용오리 농장과 영암 종오리(씨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H5N6형 고병원성 AI와 국내외 야생조류 분리 바이러스 간 상동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상동성이란 동종 또는 이종에 있어 개체간 DNA나 단백질 서열이 얼마나 비슷한지를 보여주는 척도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국내와 일본의 가금ㆍ야생조류에서 확인된 AI 바이러스는 모두 유럽 기원의 H5N8형 AI 바이러스와 저병원성 N6형 바이러스의 재조합된 H5N6형 AI로 확인됐다. 검역본부는 “다만 같은 H5N6형이지만 상동성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2개의 바이러스 그룹이 각각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창 바이러스는 제주 구좌읍 하도리 청둥오리ㆍ일본 시마네현 야생조류 유래(혹고니) 바이러스와 99.67∼100%의 상동성을 보여 동일한 바이러스로 확인됐다.

 

그러나 고창과 영암농장 간 상동성은 97.31∼99.13%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암 바이러스는 전남 순천만 흑두루미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와 99.61∼100%의 높은 상동성을 보여 근연 관계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 상동성이 1∼2%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려면 바이러스 변이가 진행된 지 1년 이상 경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검역본부는 “최소 2개의 서로 다른 H5N6형 AI 바이러스 그룹이 유럽 등 해외에서 변이된 상태에서 겨울 철새를 매개로 국내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했다.

 

검역본부는 영암 종오리 농장의 정확한 감염 경로를 밝혀내지 못했다. 다만 반경 2㎞ 이내에 야생조류가 서식하는 소하천 등이 있고, 해당 농장에서 일하던 외국인 근로자들이나 출입한 사료차량 등에 의해 오염원이 유입된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했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