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조영제 부작용 심각 사망 이르기도”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소비자원 “조영제 부작용 심각 사망 이르기도”
▲ 조영제 사전검사 경험 유무 자료제공= 소비자원     © 김진혁 기자

 

조영제 관련 부작용이 계속 발생하고 있지만, 예방 방안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영제 부작용은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안투데이]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조영제 위해 사례는 106건이었다고 27일 밝혔다.

 

조영제는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과 같은 진단 촬영때 음영을 조절해 조직이나 혈관의 상태를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의약품이다. 이 가운데 전신 두드러기·안면 부종 등 중등증이 49건, 아나필락시스 쇼크(급성 알레르기 반응)·심정지 등 심각한 중증이 25건으로 중등증 이상의 부작용 사례가 다수를 차지했다.

 

중등증 사례 49건 중 9건은 조직괴사가 유발될 수 있는 ‘조영제 주입 중 혈관 외 유출 사고’였고 중증 사례 25건 중에서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동반한 실신이 18건(72.0%), 사망 사례가 7건(28.0%)이었다.

 

이같이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다수의 소비자는 조영제 사전검사를 받아본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으며 소비자원이 2·3차 15개 의료기관에서 당일 조영제를 투여받은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현장설문조사를 했더니 이 가운데 68명이 조영제 사전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특히 ‘병원에서 조영제 투여와 관련한 설명이 없었다’고 답한 사람이 14명, ‘조영제 투여와 관련한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사람도 20명에 달했다. 조사대상 가운데 절반은 검진 당시 조영제 투여자가 의료인이 아닌 방사선사였다고 답했다.

 

소비자원은 “보건복지부는 의사가 환자 각각에 대한 투여 용법·용량을 처방한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방사선사의 오토인젝터(자동 주입기)를 통한 조영제 투여는 가능하다는 유권 해석을 내렸다”며 “그러나 조영제 투여 중에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언제라도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원은 일선 병원에 개인 체질에 따라 부작용 발생 여부가 다를 수 있으므로 여러 조영제를 구비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관계부처에는 사전검사 등 안전사고 예방 방안과 조영제 투여 정부 가이드라인·의료기관 간 환자의 부작용 정보 확인 방안 등을 마련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