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000일 되던 그날의 메아리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세월호 참사 1000일 되던 그날의 메아리
▲ 정원 스님 1주기 추모제가 6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북측광장 특설법단에서 엄수 되었다.     © 김진혁 기자

 

정원 스님 1주기 추모제가 6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북측광장 특설법단에서 엄수 되었다.

 

정원 스님(64)은 세월호 참사 1000일 되던 날 (2017년 1월 7일) 저녁 서울 광화문 북측광장 인근 열린공원 소나무 숲에서 “부정선거 박근혜퇘진” “적폐청산 불교개혁” 외치며 소신 공양 했다.

 

서울 광화문을 “박근혜 퇴진” 촉구 촛불이 떠오르 때 정원 스님은 촛불시민의 길을 소신으로 밝혔다. 스님이 소신한 장소에서 ‘일체 민중들이 행복한 그날까지 나의 발원은 끝이 없사오며 세세생생 보살도를 떠나지 않게 하옵소서 민중을 사랑하지 않는 불교는 가짜다. 박근혜는 “부정선거 내란사범, 한일협정 매국질” 즉각 손떼고 물러나라’ 등이 적힌 메모를 현장에 남겼다.

 

▲ 정원 스님 1주기 추도사을 하는 임지연 바른불교재가모임 상임대표     © 김진혁 기자

추도사를 하기위해  법단에 오른 임지연 바른불교재가모임 상임대표는 “스님, 스님은 어떤 마음이세요”라며 울먹이며. 눈시울를 적셔다.

 

이어 “고통 앞에 늘 깨어 있으라는 가르침” “스님께서 그렇게 가신 뒤로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수많은 아이들이 저항 한번 하지 못한 채 죽어갔고, 가난은 우리의 빨갛게 튼 손에 내내 남아있다”며 “온갖 버려진 것들, 고통스러워도 신음 한번 마음껏 내지 못하는 사람들, 억울함으로 울부짖는 사람들. 이들 앞에서 ‘스님, 스님은 어떤 마음이세요’”라고 다시 되뇌였다.

 

그러면서 “세상의 고통 앞에 늘 깨어있으라는 스님의 가르침이지요. 그 가르침 잊지 않고 따르겠다”.고 추도사를 마무리했다.

 

▲ 정원 스님 1주기 추모행사에서 추도사를 하는 이도흠 조계종 적폐청산 2기 시민연대 공동대표(정평불 상임대표)     © 김진혁 기자

이도흠 조계종 적폐청산 2기 시민연대 공동대표(정평불 상임대표)는 “스님의 보살행으로 박근혜는 탄핵이 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섰다. 헬조선은 모든 국민이 다같이 행복한 대한민국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고 정원 스님 열반 1년을 되짚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주권자로 인식한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 박근혜를 몰아냈지만, 정치적 주체로서 조직되지 못한 채 권력을 정치에 위임해버렸다”며 “적폐는 아직 온존하고 스님께서 그토록 처단하고자 했던 매국노 집단들은 아직도 권력을 누리고 있고, 민중들의 삶은 아직은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다”고 탄식했다.

 

정우철 민주민중당 서울특별시당위원장도 “정원 스님이 진정 바란 세상은 지금의 대통령 한 명 바뀐 이 세상이 아니라 이 땅의 모든 악폐가 청산되고 이 땅이 진정으로 자주롭고 평화로운 세상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 김진혁 기자

또한 정원스님 추모사업회는 “아직도 사회 곳곳에 악폐가 남아있다”고 지적하면서 “민주주의는 왕을 몰아내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왕이 되는 것이다. 적폐 세력은 아직 권력을 누리고 있고 민중들의 삶도 나아지지 않았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과 미군 철수, 한일 위안부 협상 무효 등을 주장했다.

 

이날 추모식에 정원스님이 즐겨 부르던 “떠나가는 배” 를 김나라(영화 상록수 주인공)씨가 열창을해 추모객들의 눈시울를 적셨다.

 

▲     © 김진혁 기자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