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절반은 여전히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서울 아파트 단지 절반은 여전히

 

▲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 자원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분리배출하라고 엄청난 교육과 사업을 시행해왔는데, 지금 도시에서는 스티로폼에 이어 비닐, 페트병까지 수거를 해가지 않는다고 아파트마다 공고가 붙어     © 김진혁기자

 

[코리안투데이] 환경부와 재활용단체가 수거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비닐 대란’이 일단락되는 듯했지만 여전히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절반은 비닐 수거 거부가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9일 기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3132곳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516곳에서 계약된 수거 업체가 비닐을 가져가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수거가 이뤄지는 곳은 1616이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4120곳 가운데 3132곳이 민간업체와 계약을 맺고 비닐과 플라스틱 등 재활용품 수거·처리를 맡기고 있다.

시는 “수거 거부 단지 가운데 1376곳은 주민 불편이 없도록 구청에서 임시로 직접 비닐을 가져가고 있다. 140곳에서는 다른 민간업체가 비닐을 수거하고 있다”며 “비닐이 임시로 쌓여있을 수는 있겠지만 장기간 방치된 곳은 없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아파트 단지 3132곳 가운데 835곳은 단지와 민간업체가 비닐 수거 관련 협상을 마쳤다. 216곳은 여전히 협상이 진행 중이다.

시는 “올해 초부터 중국이 고체 폐기물을 수입 금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해 민간업체가 수거를 거부하고 나선 것”이라며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입주자대표회의가 비닐 등 재활용품을 팔고 받는 단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민간업체와 협상하도록 중재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폐비닐 수거 비용은 자치구에 특별교부금을 지원하는 식으로 충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그러나 아파트 단지와 민간업체 사이의 협상이 지지부진해 사태가 장기화하면 자치구가 아예 직접 수거하는 ‘공공 관리 체계’로 전환할 방침이며, 관리소장 명의로 ‘종량제 봉투에 폐비닐을 담아내라’는 위법한 안내문을 붙인 단지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시는 이 밖에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분담금 의무화 비율을 현재 66.6%에서 80%로 높이고 재활용 시장 안정화를 위한 지원 기금을 조성하는 방안 등을 중앙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황보연 기후환경본부장은 “폐비닐 수거가 안 돼서 피해를 보는 시민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지원 대책과 더불어 시민들이 한마음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을 생활화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폐비닐류 수거와 처리현황 자료 서울시제공     © 김진혁기자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