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은 6일 자신이 국회 부의장 후보로 언급되는 것과 관련해 “저는 어떠한 국회직도 맡지 않는다. 앞으로 언론에서 박지원을 언급하지 말아달라,”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연석회의에서 “우리가 원구성 (협상)을 하면서 평화당이 부의장을 확보해야겠다는 것은 원내대표나 지도부가 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말할 수 없지만 부의장 후보로 박지원이 거론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대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서는 “오늘 국회 정문을 들어서면서 제헌 70주년 설치물을 보고 제가 국회의원인 것이 많이 부끄러웠다”며 “산적한 국정과제를 앞두고 원구성이 계속 지연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평화당이 제안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최소한 제헌절까지는 원 구성을 마치는 리더십을 발휘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박 의원은 감사원의 4대강 감사와 관련해서는 “3번째 결과가 나왔을 때도 지적했지만 감사원이 감사원이 아니라 맞춤형 감사를 전문으로 하는 권력의 시녀로 타락했다.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감사원장이 바뀔 때마다 해석이 다르다”고 질타했다.
이어 “환경이 그렇게 파괴 됐다고 하면 그 결과물을 가지고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고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며 “왜 감사원은 감사를 하고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가. 감사원 감사를 국회가 하자”고 촉구했다.
그는 “원구성을 하고 나면 의원총회에 가서 모든 당 원내대표가 얻어터진다”며 “많은 비난을 받는데 한국당에서 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보위원장을 한두 석이라도 양보하고 가면 저 어려운 한국당에서 원내대표가 살아남겠느냐. 강한 야당으로 정비가 되지 않으면 (원구성을) 못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