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투데이 박준 기자] 12일 홍영표 의원은 수출 주도,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만을 펼치다보니 우리 경제의 기초체질이 약화되면서 고용위기가 온 것이다.라며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질타했다.
이날 홍영표 의원은 원내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지난 11일 발표된 6월 고용동향 통계를 들어 “지난달 일자리는 1년 전에 비해 10만 6,000명 증가하는데 그쳐, 5개월 연속 좋지 않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데 집권여당 원내대표로서 이 같은 고용부진을 뼈아프게 생각한다.”며 “고용부진을 불러온 원인은 복합적이다. 무엇보다 우리 경제구조가 고용을 창출할 여력이 부족해진 것이 문제다.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
이에 홍 의원은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산업전반의 구조개선을 소홀히 한 채, 건설 및 토건 SOC사업에만 집중했다. 그러나 SOC, 부동산을 통한 경기부양으로 경제지표를 일시적으로 좋게 만들 수는 있지만 그간 우리의 주력산업이었던 조선, 기계, 철강, 자동차, 화학 등 제조업은 그만큼 쇠락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며 질타했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잃어버린 성장 잠재력을 되찾아 제조업 히든챔피언이 양산될 수 있게 산업 구조조정을 성공시켜 새로운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겠다. 문재인 정부가 기치로 내건 소득주도성장이 혁신성장전략과 한 몸처럼 움직일 때 고용지표도 호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께서 싱가포르 언론과 인터뷰에서 북미와 협의해 연내 종전선언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는데 이에 그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북미 대화와 별도로 우리 스스로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며 남북교류와 경제협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입법과제, 예산 등을 미리 점검해야 한다. 내일 하반기 국회가 개원하면 조속히 남북특위를 구성해 초당적인 준비에 나서겠다. 허비한 시간이 많은 만큼, 국회가 더 열심히 뛰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뿐만 아니라 민생, 경제를 위한 입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경제가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면서 선진국으로 도약을 이뤄냈다. 하지만 노동기본권 보장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며 ILO(국제노동기구)의 핵심협약을 들어 “ILO는 그동안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강제노동 폐지 관련 협약을 비준할 것을 우리 정부에 권고해왔다. 전 세계 150개국 이상이 이미 이 협약을 비준했는데 지난 정부에서는 우리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협약 비준을 미뤄왔다.”라며 “이와 관련해 이미 여러 건의 관련 법률안이 국회 상정되어있다. 앞으로 야당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노사양측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법안이 처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