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안투데이 박준 기자] 30일 홍영표 의원은 무책임하게 의혹을 제기하고 국민의 불신만 키우려는 행태는 낡고 낡은 구시대의 정치이다.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것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대책을 내놓는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한 홍영표 의원은 8월 임시국회가 막을 내리는 날이라며 “여야는 주요민생경제법안을 8월에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약속을 국민들께 드렸다. 오늘 그 약속이 꼭 지켜졌으면 한다.”며 “지난 한 달 동안 여야는 민생경제법안 처리를 위해 수 없이 만나서 이견을 좁히고자 노력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홍 의원은 그간 여야 협의를 통해 성과도 많았다며 “상가임대차보호법은 계약갱신 청구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늘리는 것으로 큰 틀의 합의를 이뤘다.”며 “또한 산업융합촉진법과 ICT융합법도 상임위 법안소위를 통과했다. 폭염과 혹한을 자연재난 범주에 넣는 내용의 재난안전법도 오늘 처리할 예정이다.”고 했다.
또한 그는 물론 더 협의해야 할 입법과제들도 많이 있다며 “인터넷전문은행특례법과 서비스발전법에 대해서는 오늘 오전에 다시 한 번 논의할 예정이다.”라며 더불어민주당은 본회의 직전까지 최대한 많은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홍영표 의원은 소득주도성장을 향한 야당의 공세가 갈수록 무모해지고 있다며 “어떻게든 소득주도성장을 흠집 내기 위해 근거 없는 주장을 막무가내로 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통계청장 인사를 놓고 터무니없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꼬집으며 “인사교체로 통계를 조작하려 한다는 말도 되지 않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이번 통계청장 교체는 직무평가에 따른 통상적인 인사이다.”고 짚었다.
이에 홍 의원은 사실 그 동안 통계 신뢰도에 대한 전문가들의 문제 제기가 많았다며 “올 해 들어 통계청이 두 차례 발표한 가계소득 통계가 그러한 사례이다. 통계청은 올해 가계소득을 조사하면서 지난해 4,145개 표본 가운데, 2,703개만 남기고 3,907개의 표본을 새로 추가했다.”며 “이 과정에서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와 20대 가구 표본은 각각 71.8%와 80.3%가 바뀌었다. 표본 숫자와 표본 구성이 작년과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그렇다면 올해 가계소득을 작년과 단순비교하기가 어렵다는 것은 상식적인 판단이다.”고 했다.
홍영표 의원은 그럼에도 통계청은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이라는 통계청의 기본 직무에 소홀했던 것이다. 정확한 통계가 뒷받침되어야 올바른 정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문제로 더 이상의 논란을 키워서는 안 될 것이다.”라고 꼬집으며 “무책임하게 의혹을 제기하고 국민의 불신만 키우려는 행태는 낡고 낡은 구시대의 정치이다.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것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대책을 내놓는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