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년, 원자력안전기술원장, 생각보다 많은 해수 들어와…
– 배수설비 설계는 60년만 고려, 이후 물에 잠겨도 대책은 없어…
[코리안투데이 박준 기자] 30일 국회 산자중기위 더불어민주당 권칠승의원이 입수한 ‘제5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록’ 에 따르면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방폐물 영구처분시설인 경주방폐장 동굴처분시설에 바닷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권의원이 발표한 내용은 우리나라 유일의 중저준위방폐장인 경주방폐장에서는 하루 1,300t의 지하수를 퍼내고 있으며 공사 당시에는 하루 5,000t가량의 지하수가 뿜어져 나오기도 했으며 이보다 심각한 문제는 단순히 담수 수준의 지하수가 아닌 해수가 유입되고 있다는 사실이이다.
이는 방폐장이 해안과 가까운 데다가 처분시설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를 통해 해수의 염소 성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도 늘 제기되는 문제였고 ‘16년 제54회 원안위 회의록’에 의하면 당시 김무환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실제적으로는 해수가 들어왔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많은 해수가 들어왔다는 것은 분명히 보입니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또한 배수펌프 관련해서도 당시 방폐장 설계를 맡았던 한전기술 관계자는 “설계 당시엔 일반 지하수를 기준으로 펌프 재질을 결정했다” 며 공단이 해수 유입 가능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설계를 의뢰했다는 사실을 토로하기도 하며 실제로 경주방폐장에서 발견되는 해수에는 염소성분이 일반 담수보다 높은 염소성분이 검출되었고, 해수성분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 2016년 제54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록 中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