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안투데이 윤진성 기자] 고흥군과 국토부, 항공우주연구원은 고흥만을 주민들로부터 빼앗아 가려 합니다.
고흥만 간척지는 간척 이전 득량만을 황금어장으로 만드는 남해안 어류의 최대 산란지로서 풍요로운 황금어장이었습니다. 이런 삶의 보금자리에 농경지를 만들어 주겠다며 국가가 1991년부터 4,000억 원이 투입된 토건 사업을 벌여 2012년 완공했습니다.
대대로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고흥만을 간척 완공 후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면서 주민들은 ‘을’의 처지로 전락했으나 여전히 고흥만 간척지에 대한 경작권과 사용권이 주민들에게 있기에 주민들은 고흥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농업소득을 어업소득으로 대체해주겠다, 간척 후 지역민에게 분양해주겠다는 약속은 사라지고 국가의 소유이니 자기들 맘대로 비행시험장을 만들겠다며 37만 평이나 되는 농경지를 빼앗아가려 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모자라 향후 비행시험장과 생산시설 유치로 대부분의 고흥만 간척지를 개발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간척지가 완공되기도 전인 2011년 고흥군이 수립한 우주항공클러스터기본계획에 따르면 1, 2, 3단계에 걸쳐 활주로를 5000m까지 확정한다고 합니다. 활주로를 5km까지 확장한다는 것은 고흥만 간척지 대부분의 땅을 주민들로부터 강탈해서 항공 산업 업체에 헌납하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 활주로 건설 기본계획서에서 비행시험장 후보지 선정 기준 중에 하나가 확장 가능성을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습니다.
고흥군 계획과 국가 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비행시험장이 들어서면 비행시험장의 부지는 확장될 것이고 주민들의 농경지는 그만큼 줄어들게 될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고흥 주민들은 대부분의 농경지를 빼앗기게 될 것입니다.
고흥군은 비행시험장 건설을 통해 연관 산업 유치로 인구 유입과 경제활성화를 꾀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는 국가 계획과는 전혀 상관없는 고흥군만의 꿈에 불과합니다.
정부의 항공산업발전기본계획(2010~2019)에 따르면 지역간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화 사업을 밝히고 있는데 고흥은 시험비행센터 외에는 그 어떤 계획도 없습니다.
지금 비행시험장을 막아내지 못하면 고흥만은 행정구역상 고흥에 속한 땅일 뿐 주민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땅, 오히려 각종 항공기 사고와 소음 피해만 주는 애물단지가 될 것입니다.
주민들의 힘으로 비행시험장을 막아내는데 힘과 지혜를 모읍시다.
언제 : 2018년 11월 19일 월요일 오후 6:00~6:30 어디서 : 파리바게트 사거리(고흥읍)
참여대상 : 희망하시는 모든 분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