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 청문회 “여야 날선 신경전”

Photo of author

By The Korean Today News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 청문회 “여야 날선 신경전”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오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선서를 하고 있다.     © 김진혁기자

 

– 한국당 “자료제출 안하면 정회” vs 민주딩 “유방암 수술자료”가 왜 필요? –

[코리안투데이 = 김진혁기자]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27일(수요일)자료 제출을 놓고 시작부터 여야간 고성이 오가는 등 대립이 이어졌다.

이날 오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박영선 후보의 모두발언후 자유한국당 박맹우 의원은  “반값등록금, 무상급식을 외치면서 자기 아들은 호화 외국인 학교에 보내고 불법 주식거래 의혹이 있고, 다주택 소유하면서 투기의혹이 있다”며 “그래서 자료제출을 요구했는데 자료 제출을 안 하고 있다. 며 요청한 자료를 제출해 주길 바라고 제출될 때까지 정회를 요구”했다.

이어 윤한홍 의원(자유한국당) 역시 “5년간 전통시장 사용이 82만원 불과하다고 내가 지적하니 가짜뉴스라고 법적조치를 하겠다고 한다”며 “또 후보자가 대학을 3년 밖에 안 다녔는데 대학 입학자료, 편입학 자료, 후보자 아들이 3천만원짜리 학교에 다녔다고 하는데 이걸 확인해야 하지 않나. 이게 과도한거냐. 자료를 주시고 여기서 가짜뉴스인지 아닌지 밝히면 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그러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의원은 “후보자 아들의 학교 기숙사 연간비용, 후보자 배우자가 소속된 클럽의 연간회비, 아들의 초중고 장학금 목록, 후보자가 10년 간 다녔던 축사 일체, 후보가 아들에게 보낸 송금내역, 초혼 및 재혼 포함 혼인증명서, 후보자가 유방암 수술을 받은 일시 및 병원 등이 한국당이 제출을 요구한 자료”라며 “이게 왜 필요한지 궁금하다”고 맞받았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 역시 “박 후보자를 겨냥한 총체적인 망신주기 공세가 예고됐는데 아니나다를까 개인의 신상, 여성 후보자로서 감내하기 어려운 개인 프라이버시를 건드렸다”고 가세했다.

한국당과 민주당간 공방이 격화되자 이용주 민주평화당 의원은 “자료문제를 두고 보이콧까지 언급되는 상황이 아쉽다”며 “하지만 후보자도 상당 부분 책임이 있다고 본다. 금융자료, 주식거래 내역을 제대로 제출하지 않고 있다. 자녀들과 관련한 주식거래내역은 증여세와 관련해서 제출을 요구한 것”이라고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박영선 후보자는 이에 “의원들이 모두 2천252건의 자료를 요구했고, 제가 안 낸 것이 145건”이라며 “미제출 서류 가운데는 시간이 너무 많이 경과해서 없는 자료가 대부분이고, 개인적인 신상과 관련한 부분이 지나치게 많아서 그 가운데 제가 갖고 있는 것은 다 찾아서 갖고 왔다. 의원들이 원하는 자료는 다 열람할 수 있게 하겠다”고 답했다.

박 후보는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자신이 집 4채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전세집이나 월세집에서 사는 것까지 포함해서 얘기를 한 것이다. 황 대표의 논리라면 대한민국에 전월세 살고 있는 분들은 집을 한 채씩 소유하고 있는 것”이라며 자신은 3채만 보유하고 있음을 강조한 뒤, “전통시장에서 제가 82만원 밖에 안 썼다고 하는데 남편이 시장을 봐서 남편의 카드 크레딧에 1천800만원이 나와 있다. 그래서 이게 잘못된 서류라고 말씀 드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날 청문회는 여야간 고성이 오가는 난항 끝에 오전 11시 20분이 되어서야 첫 질의를 시작할 수 있었다.

한편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국회의원 정치자금을 자동차 법규 위반 과태료와 국회 인턴급여 등으로 집행, 관련법을 어겼다는 지적이 제기돼. 중앙선관위는 “정치자금법에 저촉되는 행위”라며 “조사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박영선 후보의 정치자금 수입·지출 보고서, (2004~2018년)에 따르면, 박 후보자는 17대 초선 시절인 2004년 서울 서대문경찰서가 부과한 과태료 7만원을 정치자금으로 납부했다.

19대 3선이었던 2012년 6월엔 5만3100원(관악구청), 다음 달엔 4만 2480원(마포구청)의 과태료를 정치자금으로 냈다. 선관위 관계자는 “과태료를 정치자금으로 낸 것은 위법”이라는 것이다.

박 후보자는 국회 인턴 급여, 보좌진 초과 근무 수당 등도 정치자금으로 지출했던 것으로도 나타났다. 2005~2012년 사이 40여 차례에 걸쳐 20만~120만원씩을 ’인턴 급여‘로 줬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남기기

📱 모바일 앱으로 더 편리하게!

코리안투데이 뉴스를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신 뉴스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