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전국 대부분 지역이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았지만 관계 당국의 경보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지난해 9월 12일 경주지진 이후에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에 대한 대대적인 보안을 했다고 밝혔지만 발령 문자는 또 먹통이 됐다.
환경부에 실시간 대기오염도를 제공하는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www.airkorea.or.kr)를 보면 이날(21일) 하루에만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주의보가 30회가 발령됐다. 하지만 시민들은 이날 이같은 긴급상황에 대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
대구, 경북, 광주 등 일부 지역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충북 청주시는 그보다 높은 단계인 경보까지 발령된 상황이었다. 초미세 먼지 주의보는 시간당 평균 농도가 90㎍/㎥ 이상 상태가 2시간 지속하면 발령된다. 시간당 평균 농도가 50㎍/㎥ 미만으로 내려가면 해제된다.
이날 충북지역은 처음으로 초미세먼지(PM 2.5) 경보가 발령된 상황이었다.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 정도로 작아 호흡기에서 걸러지지 않고 허파꽈리까지 그대로 침투하기 때문에 미세먼지보다 인체에 해롭다. 미세먼지 경보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국민들에게 전파해 행동요령이나 조치사항을 실천토록함으로써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다.
경보발령 지역 주민과 그 지역을 통과하는 모든 사람에게 보다 효과적인 상황 전파를 위해 행정안전부 긴급재난문자방송(CBS·Cell Broadcasting System)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날 CBS문자는 발송되지 않았다.
충북지역의 한 시민은 “긴급재난문자를 시민들이 필요할 때 보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주말 야외활동이 많은 날에 미세먼지가 전국을 기습했는데도 불구, 관계당국의 문자가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주지진에 이어 또 다른 헛점을 드러낸 것이다.
기후환경 전문가들은 “경보는 주의보와 달리 미세먼지가 고농도로 발생된 상황이 때문에 국민행동 요령도 달라지게 된다”며 “관계 부처의 안이한 대처로 심각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번 기회에 미세먼지 재난방송에 대한 시스템을 전면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