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노동자의 목소리를 찾아서
십대 ‘밑바닥노동’ 실태조사 보고대회 행사 개요
1. 제목 : 청소년노동자의 목소리를 찾아서 : 십대 ‘밑바닥노동’ 실태조사 보고대회
2. 일시 : 2014년 3월 6일(월) 오전 10:00~12:00
3. 장소 :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 (시청역 10번출구)
4. 주최 :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5. 행사 순서 :
○ 1부. 다시, 십대 ‘밑바다 노동’을 말하다
▶ 영상보고 / 청소년노동자의 목소리를 찾아서
▶ 조사결과 발표 / 십대 ‘밑바닥노동’의 파노라마 : 변화하는 청소년노동의 오늘
– 배경내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 2부. 십대 ‘밑바닥노동’에 응답하라
▶ 토론1 / 불안정노동과 청소년 – 윤지영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 토론2 / 기초생활수급제도와 청소년노동 –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 토론3 / 탈가정 청소년과 노동 – 변미혜 (움직이는 청소년센터 EXIT)
○ 질의응답과 종합토론
6. 문의 : 이수정(010-3240-9892)
실태조사 영역과 내용 개요
| 조사영역 | 조사의 주요 목록 | 방법 | |
| 1 | 2013, 청소년노동의 오늘 | 아르바이트 경험이 풍부한 남/녀 청소년을 각각 인터뷰하여 청소년노동의 오늘을 살펴본다. 청소년 일자리의 변화, 성별에 따른 차이, 십대라는 나이의 취약성이 노동경험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이 말하는 청소년노동 지원정책에 대해 의견을 종합적으로 청취해 본다. | 다경험 청소년 2인과의 면접조사 |
| 2 | 불안정노동 1 : 배달대행 | 직접고용 형태가 아닌 특수고용 형태의 배달대행업체가 확산됨에 따라, 달라진 노동조건을 살펴본다. ‘비노동자화’가 청소년의 노동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배달대행 청소년 2인과의 면접조사 |
| 3 | 불안정노동 2 : 호텔서빙 | 호텔연회장의 화려한 불빛 아래 온갖 횡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호텔서비스 노동의 현재를 살펴본다 서빙 알바가 외주화된 현실에서, 소개업체들이 불법파견을 자행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풀 열쇠를 찾는다 | 청소년 1인과의 동행조사와 면접조사 |
| 4 | 불안정노동 3 : 택배노동 | 속칭 ‘지옥 알바’ 택배노동의 속살을 살펴보고 누가 그곳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하청의 하청 구조를 띠고 있는 간접고용 형식이 청소년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핀다. | 택배노동 청소년 2인과의 면접조사 |
| 5 | 불안정노동 4 : 이벤트 노동 | 놀면서 일한다? 많이 번다? 소위 이벤트업체를 둘러싼 이미지와 사회적 메시지가 환상은 아닌지 살펴본다. 일용노동적 특성과 강도 높은 열정, 장시간 교육의 필요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 이벤트업체 대표 인터뷰, 삐에로 알바 청소년 1인과의 면접조사 |
| 6 | 가족배경과 노동 1 : 탈가정청소년 | 생존과 주거의 위기에 놓인 탈가정 청소년 또는 쉼터 거주 청소년의 노동 경험, 특히 여성 청소년의 경우 부딪히게 되는 어려움과 성산업으로의 진입 유혹을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본다. 탈가정 청소년을 위한 독자적 노동정책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 탈가정 경험 청소년 1인과의 면접조사 |
| 7 | 가족배경과 노동 2: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청소년 |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청소년이 빈곤으로부터의 탈출을 꿈꾸며 노동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노동을 하면서도 수급비 축소의 우려 때문에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도 없는 음지의 노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청소년노동자의 권리에 미치는 악영향을 따져본다 |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이면서 노동경험이 있는 청소년 2인과의 면접조사 |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