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C
New York

전남도, 미래 건축 ‘탄소 중립․안전 강화’ 목표

Published:

 ▲ [코리안투데이] 전라남도 도청 사진     © 윤진정 기자


[코리안투데이 윤진성 기자]
전라남도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중장기 건축정책 목표와 추진 방향이 담길 2차 건축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1차 녹색건축물 조성에 집중한데 이어 이번 2차 계획은 탄소중립 도시 건설 및 안전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전남도 건축기본계획은 건축기본법 제12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세우는 법정계획이다전남지역 특성과 여건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축정책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로 만료되는 제1차 건축기본계획(2017~2021)은 건축으로 빚는 생기 넘치는 생명의 땅 전남이라는 비전하에 녹색건축물 조성계획을 수립친환경 녹색건축 확대를 위한 사업을 펼쳤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남지역 156개소에 총 548억 원을 들여 오래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강화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했다.

 

특히 환경친화적 옥상녹화 사업으로 에너지 절감과 함께 쾌적한 휴식공간 마련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빈집과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조례 제정농어촌 마을 경관개선사업 추진 등 주거환경 개선에도 노력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행복둥지사업을 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차상위계층국가독립유공자 등 주거약자의 안정적 주거생활을 지원했다.

 

전남도는 또 건축문화진흥을 위한 전라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마련해 건축자산 후보 311개소를 선정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한옥 보급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등 큰 성과를 이뤘다.

 

이번 두 번째 건축기본계획은 국가 건축정책기본계획 수립에 참여한 건축공간연구원과 지역 현안에 밝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갖춘 광주전남연구원이 공동으로 나선다정부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도민에게 더욱 공감되고 실행력이 높은 전남만의 건축정책이 담길 것으로 기대된다.

 

세부적으로 고령인구 증가에 대비한 노인복지시설 및 청년 유출 방지를 위한 공간 조성 빈집·노후 건축물 정비 혁신도시와 원도시의 상생균형 발전을 위한 도시건축통합설계 전남의 도시문제 해결과 정체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굴할 계획이다또 농가인구 감소와 지역 환경문제 해소를 위한 친환경 축사 및 스마트팜 도입 노후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안전 및 에너지 성능 향상 지속적인 건축자산의 보전과 활용 활성화 우수한 해양 경관 조성을 위한 건축디자인 향상 등도 포함할 방침이다.

 

앞으로 시군 현장조사 및 실무자 인터뷰도민 건축 인식조사전문가 토론 및 시민공청회도의회 의견 청취 등 과정을 거쳐 2022년 8월까지 최종 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영수 전남도 건축개발과장은 탄소중립 도시 건설지역 건축안전 강화지역 공공건축 혁신 등 국가 건축정책에 부합하면서도 전남만의 특색을 살린 차별화한 건축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기사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코리안투데이(The Korean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 articles

spot_img

Recent articles

spot_img